영어 시험 독해전략을 설명하는 인포그래픽 이미지

“영어 시험 독해 완벽 가이드: Big 4 문제 유형과 고득점 전략”


✅ 영어시험 독해의 요령 및 준비전략




✅ 1. 독해의 기본 원칙과 요령, 준비방법!


📚 1. 배경지식 활용하기 (Contextual Knowledge)

배경지식은 글의 주제와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특히, 시험에서 새로운 정보를 다룰 때 배경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문제 풀이 속도와 정확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.

  • 전략:
    • 글의 주제(예: 과학, 역사, 경제 등)와 관련된 기본 지식을 미리 학습하기.
    • 단어 의미를 배경지식과 연결하여 유추하기 (예: ‘photosynthesis’라는 단어를 모를 때, ‘photo-‘와 ‘synthesis’를 배경지식으로 추론).
    • 이전에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글과 연결하여 이해하기.
  • 예시:
    • 만약 환경 보호에 대한 글이 나오면, 관련된 용어(예: conservation, sustainability)를 이미 알고 있으면 빠르게 이해 가능.


🌟 2. 어휘 확장 훈련 (Vocabulary Expansion)

시험에서 다양한 주제의 글을 이해하려면 폭넓은 어휘력이 필요합니다.

  • 전략:
    • ETS 빈출 어휘 목록과 연어(collocation)를 지속적으로 학습하기.
    • 어휘를 단어 자체로 외우기보다는 문맥 속에서 익히기.
    • 반의어, 유의어를 비교하여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기.
    • 빈출 명사와 전치사 연어(예: ‘under the supervision of’, ‘in response to’)를 집중적으로 학습하기.
  • 예시:
    • ‘proposal’이라는 단어와 함께 자주 쓰이는 표현: ‘submit a proposal’, ‘review a proposal’.


🔍 3. 비교와 대조 활용 (Comparison and Contrast)

비교와 대조는 독해 문제에서 중요한 정보 구조입니다. 이를 잘 활용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

  • 전략:
    • 글의 구조에서 비교와 대조를 나타내는 단어들에 주목하기 (예: ‘however’, ‘in contrast’, ‘similarly’ 등).
    • 비교(비슷한 점)와 대조(다른 점)를 도표로 정리하며 학습하기.
    • 단락 간 비교와 대조를 통해 글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기.
  • 예시:
    • “While A focuses on efficiency, B emphasizes creativity.”라는 문장에서 A와 B의 차이를 빠르게 파악하기.


4. 속독 연습 (Speed Reading)

시험 시간 안에 문제를 모두 풀기 위해서는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 능력이 필요합니다.

  • 전략:
    • 핵심 정보(주제 문장, 숫자, 고유명사)를 중심으로 읽기.
    • 스키밍(Skimming)과 스캐닝(Scanning) 기술을 훈련하기.
    • 불필요한 정보는 과감히 건너뛰고, 필요한 정보만 집중적으로 읽기.
  • 예시:
    • 기사에서 ‘목적’이나 ‘결론’ 부분을 빠르게 찾아 읽는 연습하기.


5. 정확한 독해와 의문사 활용 (Reading Accuracy & WH-words)

특히 ‘Big4’ 유형에서 정확한 독해는 필수입니다.

  • 전략:
    • ‘Who, What, When, Where, Why, How’의 의문사 중심으로 질문을 분석하기.
    •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의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기 (예: 장소를 물어보는 문제인지, 이유를 물어보는 문제인지).
    • 선택지를 정확히 분석하고 근거를 확인하기.
  • 예시:
    • “Why did the author mention X?”라는 질문에서 원인 또는 목적을 찾는 능력 키우기.


🔑 6. 정보 중심 독해 (Information-Focused Reading)

특히 파트 7에서 긴 지문을 다룰 때 유용합니다.

  • 전략:
    • 중요한 정보(숫자, 날짜, 이름 등)를 빠르게 찾기.
    • 문제 유형별로 정보를 분류하는 훈련하기.
    • 정보의 위치를 기억하며 문제 풀이 시 활용하기.
  • 예시:
    • ‘Main Idea’ 문제는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을 집중적으로 읽기.


🧠 7. 정답률을 높이는 메타인지 전략 (Metacognitive Strategy)

스스로의 독해 과정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방법입니다.

  • 전략:
    • 문제를 푼 후 오답을 분석하고, 왜 틀렸는지 메모하기.
    • 자신의 독해 스타일을 점검하며 부족한 부분 보완하기.
    • 주기적으로 자신의 실력을 점검하고 개선 계획을 세우기.
  • 예시:
    • 오답 노트를 만들어 자주 틀리는 유형을 분석하기.


📝 8. 실전 감각을 위한 모의고사 활용 (Mock Test Strategy)

모의고사는 실전 감각을 기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
  • 전략:
    • 시간 제한을 두고 문제를 풀어 실전처럼 연습하기.
    • 틀린 문제를 집중 분석하고, 유사 문제를 다시 풀어보기.
    • ETS 출제 경향을 파악하고, 자주 출제되는 유형을 정리하기.
  • 예시:
    • 실전 모의고사를 풀고, ‘주제/목적, 세부사항, 사실 파악, 추론’ 문제를 집중 분석하기.




✅ 2. 독해 시험 전략 (실전 전략)


📌 (1) “문제와 답은 함께 있다” (Question과 Answer의 원칙)

  • 수험 영어의 객관식 독해 문제에서는 Question(질문)과 Answer(답)이 반드시 함께 존재한다.
    • 📌 정답은 대부분 Paraphrasing(다른 표현으로 바꾸기) 되어 나타남.
    • 따라서, 직접적으로 답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질문(Question)을 찾아야 함.
    • 그 질문이 나와 있는 문장이 바로 답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. 이를 찾는 것이 핵심.
  • Skimming과 Scanning의 원리:
    • Skimming: 지문을 빠르게 훑어보며 Question이 포함된 문장을 찾는 과정.
    • Scanning: 찾은 질문이 포함된 문장을 정확하고 강하게 읽어 답을 추출하는 과정.
    • 🚩 핵심 포인트: 문제는 지문 속의 특정 문장과 연결된다. 이 문장을 ‘단서지문’이라고 하며, 정확히 찾는 것이 관건이다.

📌 (2) 보기 분리 작업 (키워드를 활용한 정답 분리 접근법)

  • 정답을 찾기 위한 보기 분리 작업:
    • 객관식 보기는 서로 다른 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가장 중요한 것은 보기를 구분짓는 ‘특정 단어’이다.
    • 이 단어를 ‘키워드’ 라고 하며, 특히 명사가 될 때가 많다. (명사는 Paraphrasing이 어려워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)
    • 🚩 보기 분리 접근법: 보기를 먼저 훑어보고, 서로를 구분짓는 단어를 확인한다. 이것이 문제 풀이의 핵심이다.
  • 예시 (보기 분리 작업):
    • 질문: “When did the project start?”
    • 보기: (A) In 2005 (B) In Paris (C) By John Smith (D) During summer
    • 🚩 Analysis: 이 질문은 “When (언제)”에 대한 질문이다. 따라서 정답은 시간 정보인 (A) In 2005가 될 가능성이 크다. 장소(Where)나 인물(Who)에 대한 보기는 배제한다.

📌 (3) 유형별 답이 나오는 위치 (정확히 공략하기)

  • 주제/목적 문제 (Topic & Purpose):
    • 📌 정답 위치: 글의 초반부 (첫 문장 또는 두괄식 구조)
    • 🚩 연역적 구성의 글이 많다.
  • 세부사항 문제 (Detail):
    • 📌 정답 위치: 특정 정보가 있는 문장. 질문의 의문사(Who, What, When, Where, Why, How)를 정확히 파악하여 찾는다.
    • 🚩 의문사를 정확히 파악하고, 지문 내에서 해당 정보를 빠르게 찾기.
  • 사실 파악 문제 (Fact Identification):
    • 📌 정답 위치: 지문에서 명확하게 언급된 사실과 일치하는 문장.
    • 🚩 True/False 형태, 또는 Fact/Negative Fact등의 형태로 출제됨.
  • 추론 문제 (Inference):
    • 📌 정답 위치: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암시하는 문장.
    • 🚩 문맥을 통해 유추하며, 반드시 증거를 바탕으로 추론. 과도한 상상은 오답을 유발함.



✅ 3. 준비 전략 및 학습 방법 (Big4 중심)


📌 Big 4 문제 유형 (주제/목적, 세부사항, 사실 파악, 추론) 정리

시험용 영어독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유형을 ‘Big 4’ 라고 정의했습니다. 각각의 특징과 효과적인 풀이 방법을 아래에 정리합니다.


🌟 1. 주제/목적 (Main Idea / Purpose)

글의 핵심 내용을 이해하거나, 작성 의도를 파악하는 유형입니다.

  • 특징:
    • 글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나 목적을 묻는 문제.
    • 첫 문장(주제문) 또는 마지막 문장에 정답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음.
    • 제목 문제로 출제될 때도 있음.
  • 전략:
    • 글의 도입부(Introduction)와 결론부(Conclusion)를 중심으로 읽기.
    • 반복적으로 사용된 단어나 구문을 파악하기.
    • 제목이나 목적을 묻는 경우, 명확하게 진술된 문장을 찾기.
  • 예시 문제:
    • What is the main idea of the passage?
    • What is the author’s primary purpose in writing this article?

🔍 2. 세부사항 (Detail)

글 속의 특정 정보를 정확히 찾아내는 유형입니다.

  • 특징:
    • 사실 확인 문제로도 출제됨.
    • 숫자, 날짜, 이름, 장소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묻는 문제.
    • 보기 중 일부가 본문과 일치하지 않거나, 일부만 포함된 경우 주의 필요.
  • 전략:
    • 키워드(고유명사, 숫자, 날짜 등)를 빠르게 찾아내기.
    • 문맥을 통해 정확한 의미를 확인하기.
    • 지문과 보기의 문장을 비교하여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하기.
  • 예시 문제:
    • According to the passage, what is mentioned about X?
    • Which of the following is true according to the passage?

3. 사실 파악 (Fact Identification)

글에 명시된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는 유형입니다.

  • 특징:
    • 지문에 나온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현을 찾아내는 문제.
    • 혼동을 유발하는 표현에 주의해야 함 (예: 부정문, 반대 의미, 숫자 변경 등).
  • 전략:
    • 본문에서 정확히 일치하는 표현을 찾기.
    • 정보의 변형이나 재진술(rephrasing)에 유의하기.
    • 중요한 정보는 표시하거나 밑줄 긋기.
  • 예시 문제:
    • What is stated in the passage about X?
    • Which statement is true according to the passage?

💡 4. 추론 (Inference)

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거나 암시를 이해하는 유형입니다.

  • 특징:
    • 글 속에 숨겨진 의미나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문제.
    • ‘암시하다(suggest)’, ‘의미하다(imply)’, ‘추론하다(infer)’ 같은 단어로 출제되는 경우 많음.
  • 전략:
    •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고, 주어진 정보로부터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기.
    • 선택지를 본문 내용과 비교하며, 직접 언급된 내용이 아닌 논리적 추론을 찾기.
    • 배경지식에 의존하지 말고 글 자체에서 근거를 찾기.
  • 예시 문제:
    • What can be inferred from the passage about X?
    • The author implies that…


      🚀 Big 4 문제 유형을 효과적으로 풀기 위한 팁
    • 주제/목적 문제: 제목, 목적을 묻는 문제는 도입부와 결론을 우선적으로 살펴보기.
    • 세부사항 문제: 고유명사, 숫자, 날짜 등 명확한 정보를 빠르게 찾기.
    • 사실 파악 문제: 보기와 본문을 비교할 때,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주의 깊게 확인하기.
    • 추론 문제: 명시되지 않은 내용을 유추할 때, 본문 내용을 논리적으로 연결해 생각하기.


(4) 추가 문제 유형들 (Big4 외 출제 유형들)


  • 동의어 문제 (Synonym Question):
    • 📌 특징: 특정 단어의 유사한 의미를 찾는 문제. 주로 단어의 문맥에 따라 의미가 결정됨.
    • 🚩 주의: 아는 단어라고 바로 답을 선택하지 말 것. 특히 다의어(예: ‘set’, ‘run’)는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.
  • 문장 삽입 문제 (Sentence Insertion):
    • 📌 특징: 문맥의 흐름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위치에 문장을 삽입하는 문제.
    • 🚩 접근법: 연결어(예: however, therefore) 또는 대명사(예: it, they) 등을 활용하여 논리적 흐름을 파악.
  • 논리 완성 문제 (Logical Completion):
    • 📌 특징: 글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문장을 선택하는 문제.
    • 🚩 접근법: 흐름의 일관성(coherence)을 유지하며, 보기 간의 의미를 분리하는 작업이 중요함.
  • 글쓴이의 감정 찾기 (Author’s Tone/Emotion):
    • 📌 특징: 글쓴이의 감정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문제.
    • 🚩 접근법: 글의 어조(tone)와 단어 선택에 집중하기. 긍정적, 부정적, 중립적 어휘를 구분하여 파악한다.
  • 차트 문제 (Chart Question):
    • 📌 특징: 지문과 함께 제시된 그래프, 표, 다이어그램 등을 해석하여 답을 찾는 문제.
    • 🚩 접근법: 지문과 차트를 정확히 비교하며, 수치나 그래프의 흐름을 분석.
  • 연계 문제 및 다중 지문 문제 (Multiple Passage Questions):
    • 📌 특징: 두 개 이상의 지문을 비교하거나 교집합을 찾는 문제 유형.
    • 🚩 접근법: 하나의 지문에서 답이 나오지 않을 때는 다른 지문과의 연결성을 찾아야 함.
    • 특히, 고유명사 (사람 이름, 지명, 날짜, 숫자 등)를 중심으로 교집합을 찾는 것이 효과적.
    • 시험 문제에서 고유명사는 변경될 수 없으므로, 이를 중심으로 지문 간의 연결을 파악한다.

Exit mobile version